정부과제 선정 확률을 높이는 사업계획서 꿀팁

정부과제 현직 심사위원 큐사장이 직접 알려주는 정부과제 선정되는 사업계획서 작성 꿀팁! 심사위원 입장에서 핵심만 간결하게 알려드립니다.
큐사장's avatar
Apr 03, 2025
정부과제 선정 확률을 높이는 사업계획서 꿀팁

큐사장은 다수의 정부 기관에서 심사위원으로 위촉을 받아 그 중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과제에 지원한 많은 사업계획서를 봐왔습니다. 지원과제 심사위원의 입장에서 서류통과 확률을 높이는 꿀팁을 알려드릴게요.

1. 기관(NIPA 등) 관계자는 내용을 보지 않는다

수 많은 지원자의 문서를 주관 기관에서 내용을 보면서 선정한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그러니 큐사장 같은 심사위원을 부르지요). 기관 담당자가 제일 먼저 하는 게 뭐냐면 바로 결격 사유를 찾는 거예요. 완전자본잠식, 체납, 송사 같은 건이 공고에 결격사유로 있으면 아무리 멋진 계획서라도 본선에 오를 수 없습니다 합니다. 중요한 건, 이 단계에선 여러분의 훌륭한 내용은 보지도 않는다는 거죠.

과제 공고에 명기된 결격사유가 있다면 과감히 포기하시기 바랍니다.

2. 심사위원도 사람이다

이제 위 과정을 통과한 지원자들의 심사를 위해 기관에서 큐사장 같은 분들을 부릅니다. 적게는 하루 길게는 며칠에 걸쳐 지원자들의 사업계획서와 발표자료를 심사하지요. 한 번에 수십 개의 자료를 평가하다 보면 ‘머리가 터진다’란 게 어떤 느낌인 지 알게 됩니다. 양식을 통일한다고 해도 지원 서류마다 용어도 다르고 말투도 다르고 심지어 어떤 서류는 양식을 뛰어 넘어 작성이 되어 있네요?

그래서 말인데, 여러분 사업계획서는 쉽게 읽히는 게 최고입니다.

  • 심사위원은 중학생이다: 극단적인 표현이지만 심사위원이 얼마나 많은 분야를 다 알겠습니까? 엊그제 본 심사도 이커머스, 탄소배출, 제조, 물류, 태양광, 조선, 무역 등 전 분야에 걸쳐 지원서가 왔습니다.

  • 임팩트 있게 쓰세요: 이해도 못 하겠는데 문서와 장표에 빼곡히 글자랑 그림 넣으면 보는 사람 집중 못 합니다. 한눈에 탁 들어오게 심플하게 가세요. 극단적으로 말하면 제목만 보고 다른 내용은 못 봅니다. ‘안 보는 게 아니라 못 봅니다.’

  • 쉽게쉽게 쓰세요: 어려운 말, 전문 용어 막 쓰면 심사위원들 금방 지칩니다. 쉬운 말로 핵심만 딱 적어주세요.

3. 배점표가 바로 정답지다

모든 정부과제 심사에는 배점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업 타당성 20점, 사업 경쟁력 35점 이런 식이죠. 근데 신기하게도, 심사위원 생활을 꽤 했다고 생각하는데도 딱 한 장으로 배점표에 맞춰서 "왜 우리가 이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하는지"를 깔끔하게 정리한 회사를 지금까지 본 적이 없어요.

  • 평가 항목별로 간략하고 확실하게 정리해주면 심사위원 입장에서는 너무나 고맙습니다. 호감이 가죠.

  • 내 사업이 일론 머스크를 씹어 먹는 사업이더라도 배점표 양식에서 벗어나 내용을 쓰거나 양식에 맞췄지만 내가 판단하기에 너무 글이 길거나 장황하면 추측할 수 밖에 없습니다.

큐사장의 마지막 한마디

결국 정부과제 심사도 사람이 하는 일이에요. 명확하고 간결하고 평가 기준을 잘 반영해서 심사위원 마음을 사로잡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이 팁 잘 기억해서 좋은 결과 얻길 바랄게요.

Share article
Write your description body here.

웰키아이앤씨 블로그